Welcome to My World (www.dgmayor.com)

분류 전체보기 341

9. 삼성 오디세이 노트북 소개

라임 엘디전자를 거쳐.... 어쩌다보니 plc 회사인 한울 시스템 에서 받은 노트북 삼성 오디세이이다. 예전에 해솔에서 오멘을 받고는 오디세이 쓸까.... 오멘 쓸까 하다가.... 오멘 신버전 (보면 볼 수록 디자인에 별로다. ㅜ)을 사고 엄청 후회 했었는데.... 요즘은 이 옛버전 디자인의 오디세이 말고 스틸형인가? 이상하게 신형 디자인이 더 별로다. 예전에 2017년 추석에 99만원에 나올 때 이거 말고 always9을 사려다 어쩌다보니... 레노버 뭐... 계속 돌았었는데.... 만약 내가 얼웨이즈나 오디세이를 샀더라면 내인생이 또 어떻게 변했을까 싶다. 그거는 그렇고... 이 구버전 오디세이는 이쁘다. 무게는 무겁다 ㅜ 아... 노트북 사용후기에서 제일 중요한게... 보이지 않는 하자 같은 건데...

5. 배터리

배터리는 축전지, 전지, 건전지, 밧데리, 셀 등 여러가지 용어로 표현되고 있으며, 핸드폰, 노트북, 리모콘 등 대부분의 휴대기기에 포함되어 에너지를 공급해주는 아주 중요한 전자부품입니다. 하여 이번 글에서는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전자부품, 배터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배터리, 화학전지란? ] 화학전지는 화학 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얻는 장치를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배터리, 건전지 등은 이 화학 전지를 말합니다. 화학전지는 크게 1차전지, 2차전지, 연료 전지 세가지로 나뉘며, 이에 대한 것은 아래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화학전지의 원리 ] 앞서 말햇듯, 화학전지는 화학반응을 일으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합니다...

4. 릴레이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전자부품 '릴레이(Relay)' 에 대해 알아보기 ] [ 릴레이란? 릴레이의 작동 원리 ] 릴레이는 쉽게 말해 ON, OFF가 있는 일종의 '스위치' 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불을 켜고 끌때 누르는 스위치와는 '동작원리'가 다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스위치는 '수동'으로 ON, OFF 해주지만, 릴레이는 '자동'으로 ON,OFF 할 수 있게끔 해주는 전자부품 입니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말하자면, 별도로 분리되어 흐르는 전기를 스위칭할 수 있는 신호 또는 펄스를 만들어 줍니다. 이러한 릴레이는 작동하기위해 필요한 전압은 낮지만, 입력될 수 있는 전압은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릴레이는 흔히 낮은 전압/전류를 이용하여 더 높은 전압/전류..

6.PLC 설명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란 종래에 사용하던 제어반 내의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릴레이제어반 기능을LSI, 트랜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로 대체시켜, 기본적인 시퀀스 제어 기능에 수치 연산 기능을 추가하여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메모리에 있는 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을 순환(SCAN)하면서 로직을 수행하면서 자율성이 높은 제어 장치이다. PLC는 초기에는 PC(Prgrammable Controller)로 불리었으나 개인용 컴퓨터의 약자인 PC와 혼동되므로 1978년미국 전기 공업회 규격 (NEMA:NATIONAL ELECTRIC MANUFACTURING ASSOCIATION)에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명명하고 “디지털 ..

4. CC-Link 설명 2

1. CC-Link의 전송 방식 먼저 CC-Link에서 어떠한 전송 방식이 있는지 소개하겠습니다. ① 사이클릭 전송 - 네트워크로 지정된 영역의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자동 송신 - 따로 프로그래밍 하지 않아도 설정에 의해 자동 전송 - 일반적인 CC-Link 데이터 교환 방법 ② 트랜전트 전송 - 데이터 교환 요청이 있을 때만 전송 2. CC-Link의 구성 및 종류 ① 마스터국(局) - 데이터 링크를 관리, 제어하는 국 - 네트워크 제어 정보를 보유(파라미터) ② 로컬국 - 마스터국 or 다른 로컬국과 교신을 함 ③ 인텔리전트 디바이스국 - 시이클릭전송, 드랜전트 전송을 실시 - 로컬국도 인텔리전트 디바이스에 속함 ④ 리모트국 - 리모트I/O국과 리모트 디바이스국이 있음 3. 리모트 입출력 디바이스와의 ..

3. CC-Link 설명 1

오늘은 CC-Link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간단히 정의부터 시작하자면 CC-Link란, 미쓰비시(MELSEC)에서 만든 통신규격으로 복잡한 배선 없이 몇 개 또는 단일화된 선 1개로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CC-Link에는 정말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마다 케이블의 모양이 다릅니다. 그중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는 CC-Link는 CC-Link IE이며 IE는 이더넷(LAN 케이블)을 이용한 CC-Link 통신을 의미합니다. 그럼 이제부터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1. CC-Link의 연결 설정 다음과 같이 마스터 국 1개 / 로컬 국 1개의 구성을 만든다. 설명을 붙이자면 ① 마스터 국이 로컬 국을 관리하는 형태 ② 리모트 I/O는 CC-Link의 입출력 장치로 간주됨 ③..

1. MELSEC 명령어

디바이스 비트 디바이스, 주로 ON/OFF신호를 취급 X 입력 Y 출력 M 내부 릴레이 L 래치 릴레이 S 스탭 릴레이 B 링크 릴레이 F 애넌시애이터 워드 디바이스, 주로 데이터를 취급, 16비트로 1워드를 구성 T 타이머 C 카운터 D 데이터 레지스터 W 링크 레지스터 R 파일 레지스터 Z, V 인덱스 레지스터 N 네스팅 P 포인터 I 인터럽트용 포인터 K 10진 정수 H 16진 정수 SET : 입력조건이 ON으로 되면 지정된 디바이스를 ON으로 하고, 입력조건이 OFF가 되어도 ON상태를 유지한다 RST : 지정된 디바이스를 OFF상태로 한다. PLS : 펄스 입력조건이 올라갈때 지정된 디바이스의 1스캔 ON명령(예: PLS M5) PLF : 펄스 입력조건이 내려갈 때 지정된 디바이스의 1스캔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