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to My World (www.dgmayor.com)

소프트웨어 (과거)/웹 서버 등 개발 환경 세팅

7. 신형 톰캣 (tomcat 9.0.56 tar.gz) 설치 방법

dgmayor 2022. 1. 20. 20:28
728x90

https://tomcat.apache.org/download-90.cgi

 

9.0.56 tar.gz 를 다운로드..... (wget)

 

원하는 폴더에 압축해제....(zxvf)

 

그럼 사실 설치 끝이다...

자바나 이클립스나 스타크래프트나 설치는 그냥 파일을 다운 받으면 끝나는 거고....

여기서 startup.sh 같은 실행 파일을 실행 하면 그 파일이 실행이 되는 것이다.

 

실행은 리눅스 우분투 20.04 기준 (시간이 흐르다 보니 버전이 정말 중요 하다는 걸 이번에 뼈져리게 느꼈다.)

sudo -i 혹은 chmod로 권한을 바꾼뒤에 sudo sh startup.sh 해주면 톰캣이 실행이 된다.

반대로 shutdown.sh 하면 톰캣이 정지가 된다.

 

여기서 터미널에서 더욱 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etc/init.d 에서 tomcat 파일을 755 모드로 생성 후에....

 

#!/bin/bash

### BEGIN INIT INFO
# Provides:    tomcat
# Required-Start:  $remote_fs $syslog
# Required-Stop:   $remote_fs $syslog
# Default-Start:   2 3 4 5
# Default-Stop:    0 1 6
# Short-Description: auto start Tomcat server
# Description: start web server
### END INIT INFO

case $1 in
start)
sh /톰캣위치/bin/startup.sh
;;
stop)
sh /톰캣위치/bin/shutdown.sh
;;
restart)
sh /톰캣위치/bin/shutdown.sh
sleep 2
sh /톰캣위치/bin/startup.sh
;;
esac
exit 0

파일을 저장, (참고로.... 위의 파일은 어느 블로그에서 복사 붙여 넣기 한 것인데.... 주석을 다 지워 버리고....

echo 등의 문으로 톰캣이 어떤 상태라는 것을 표시 하는 것 까지 시간이 되면 적어 놓고 싶은데....

한번 설정이 꼬이면 다시 몇 시간을 허비하여야 하므로 도저히 할 엄두가 나지 않아서 포기 하였다.)

 

 

그 다음

 

1. 서비스를 업데이트 한다.

 * sudo update-rc.d tomcat defaults

 

2. 서비스를 시작하여 본다.

 * service tomcat start

 

3. 잘 동작하는지 상태를 확인하여 본다.

 * service tomcat status

 

하면 될 듯하고......

 

필자의 경우 아파치 연동이 하도 안되어..... 직접 톰캣을 웹 서버로 사용하려고

conf/server.xml 8080 대신 80 포트를 넣고.....

8005 셧다운 포트에 임의의 포트를 입력하였다.

(이렇게 해야 이클립스 상에서 두개의 톰캣을 동시에 돌릴 수 있다.)

 

tomcat-admin이라던가...  tomcat-apache 커넥터 등.....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개의 톰캣을 돌리는 것도 아니고... 보안 서버 관리자도 아니라서....

그냥 포기.... (당장 내일 무슨 프로젝트 결과물을 내야 할 거 같은데.... 서버 설정에만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

 

만들거면 좀 제대로 만들던가.... 아니 만들어져 있어도.... 웹 서버가 요즘은 몇 개인지도 모르겠고....

 

하여튼 수많은 블로그를 뒤져가며 이 글을 썼는데.....

내가 예전에 도움을 받은 것 처럼.... 누군가에게 내가 도움이 되었으면 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