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일 : 디바이스 제어 (하드웨어, 입출력 장치), 프로세스 제어 (다중 프로그램), 네트워크, gui 환경 등등 제공...
윈도 : c#, .net, asp 모든 면에서 최고...
단점 => 그냥 싫음;;
레드햇 : 돈 받고 파는 리눅스 -> 이거 쓸 바에 윈도우 씀;;
데비안 : deb를 통해 설치, 제거가 쉬움....
우분투 : gui 지원 리눅스
redStar : 북한에서 개발
리눅스 명령어 :
cd 이동, rm 제거, xvzf 압축, ls 목록 보기
패키지 관리
apt-get update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합니다.
apt-get dist-upgrade 설치된 패키지들을 업그레이드 합니다.
apt-cache search --names-only pkg_name pkg_name으로 된 패키지를 검색합니다.
apt-get install pkg_name pkg_name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apt-get install --reinstall pkg_name pkg_name pkg_name 패키지를 다시 설치합니다. 특정 파일이 손상 된 경우에
이를 복구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apt-get remove pkg_name 패키지를 제거합니다. 이때 설정 파일은 제거되지 않습니다.
apt-get remove --purge pkg_name pkg_name 패키지를 제거하고 관련 설정 파일도 모두 제거합니다.
apt-get source pkg_name pkg_name 패키지의 소스 코드를 설치합니다.
쉘 환경 설정 - .bashrc 수정
부트로더
grub
우분투로 리눅스를 입문하였으나, 상용 웹 서버로 사용 하려면 데비안이 확실히 나은 듯 하다.
우분투가 맥 os 같은 거라면.... 데비안은 에러 없는 튼튼한 서버라고나 할까.....
'소프트웨어 (과거) > 웹 서버 등 개발 환경 세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31. cat명령을 사용하여 Linux 파티션을 백업하거나 복제하는 방법 (0) | 2022.04.05 |
---|---|
30. 원시 데이터 보는 법 (0) | 2022.04.05 |
28. 이클립스에서 ftp 사용하기 (0) | 2022.03.31 |
27. 유용한 jar 파일 모음집... (0) | 2022.03.30 |
26. mysql 사용법 정리 (0) | 2022.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