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yor 2022. 2. 25. 18:00

형상 관리가 너무 힘들어서 방법을 계속 찾다 보니 egit이라는 것도 보고, 여러가지를 보았으나......

mars 이후에는 내장 되어있다는 말과, 윈빌 때문에라도 옥시즌으로 갈아타고.. git을 사용중인데... 

개념은 알겠으나 사용법이 어렵다...

 

나중에 포스팅 한 것을 읽어보고 적용할 필요성을 느낀다.

 

다음은 펌글 내용이다.

 

  • Eclipse에는 Git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있다.

 

  • 오른쪽 상단의 Open Perspective 클릭 후 git 선택

새로운 git 카테고리가 생겼다.

  • 왼쪽의 도구창에서 create repository를 누른 후 repository로 사용할 프로젝트를 찾아 선택한다.

Git 사용할 프로젝트

선택 화면

GIt Repository에 올라간 것을 알 수가 있다.

선택 된 프로젝트에 .git 폴더가 생성되었다.

 

  • Remotes를 클릭->create remote 클릭

  • 사용할 원격 저장소의 주소를 입력한다.

  • Finish를 누른후 save를 누른다.

  • 로컬 저장소로 등록한 프로젝트에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준다.
    새로 만들게 되면 ?가 생기는데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것은 ?가 뜬다.

  • 프로젝트 오른쪽 클릭 ->Team ->Commit을 눌러 등록되지 않은 파일들을 Stage에 올린다.

상태가 변했다.

  • 프로젝트 오른쪽 클릭 ->Team ->Switch to -> new Branch를 클릭해 새로운 Branch를 만들어준다.

  • Second Branch를 클릭하게 되면 프로젝트에 Master가 아닌 Second가 주인이 된다.

  • second branch에서 Hello.jsp파일을 수정한 후에 Commit한다.

  • Master Branch와 Second Branch로 보면 같은 파일임에도 내용이 다른 것을 알 수가 있다.

Master

Second

 

나머지는 이거 보고 잘 쓰다 보니까 되더라.....